리더가 부하 직원에게 효과적으로 일을 맡길 때 사실이나 객관적인 정보로서 전해야 할 8가지 항목
-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분명하게 한다.
- 아직 결정되지 않은 부분을 명확하게 알려준다.
- 재량으로 진행해도 되는 범위를 명확하게 알려준다.
- 보고, 연락, 상담의 시기와 규칙을 분명하게 정한다.
- 여러 직원 중에서 그 사람을 선택한 이유와 업무의 배경을 설명한다
- 업무의 개요를 분명하게 이야기한다
- 목표와 기대치를 분명하게 전달한다
- 수행의 책임을 확실하게 알려준다
부하직원의 일하는 방식이나 방법에 대한 상사의 리액션으로 기억해 두어야 할 피드백의 3원칙
1. 피드백은 일을 맡긴 상대의 행동에 대해서만 한다.
- 일을 맡은 부하 직원이 정말로 알고 싶어 하는 것은 자신의 행동 중 어떤 문제가 있어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며, 어떻게 해야 다음에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이다. 이것을 말해주는 것이 피드백이다.
2. 피드백은 감정이 아니라 의견을 전하는 것이다.
- 부하 직원의 성장이나 향후의 커리어로 이어질 수 있는 건설적 피드백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피드백의 내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3. 피드백은 말로 직접 전달한다.
- 부하 직원이 기껏 좋은 행동을 했는데 상사가 반응이 없으면 상사가 나를 제대로 평가하고 있지 않다는 불안감이 전체의 사기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부하 직원 성숙도에 따르는 업무 지시 방법
성숙도 1 : 역량과 의욕이 모두 낮은 상태
리더의 역할
1. 문제를 결정한다.
2. 목표를 결정한다.
3. 역할을 결정한다.
4. 업무 방식을 결정한다.
5. 업무 방식을 자세히 지시한다.
6. 리더가 의사 결정을 한다.
성숙도 2 : 아직 역량을 부족하지만 의욕이 높은 상태
리더의 역할
1. 문제를 결정한다.
2. 목표를 결정한다.
3. 작업 계획을 작성하고 부하 직원에게 전달한다.
4. 결정 사항에 대해 의견을 구한다.
5. 부하 직원의 주체성을 존중한다.
6. 부하 직원에게 아이디어나 의견을 구하되 의사 결정을 리더가 한다.
7. 업무 방식을 지시한다.
성숙도 3 : 역량은 높지만 의욕 면에서는 편차가 있는 상태
리더의 역할
1. 목표를 부하 직원과 함께 결정한다.
2. 업무 진행 방식을 함께 결정한다.
3. 부하 직원이 원한다면 지지하고 지원한다.
4. 자원이나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5. 부하 직원이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이야기를 귀담아 듣고 지원한다.
6. 부하 직원에게도 책임을 지게 한다.
성숙도 4 : 약량도 충분, 의욕도 충분한 상태
리더의 역할
1. 목표를 부하 직원과 함께 결정한다.
2. 업무 진행 방식을 함께 결정한다.
3. 부하 직원에게 행동 계획을 작성하게 하고 문제 해결도 스스로 하게 한다.
4. 부하 직원이 의사 결정을 하고, 상사는 적절히 진척 상황을 확인한다.
'Book >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플라톤의 인생 수업 (0) | 2025.04.30 |
|---|---|
| 마흔에 읽는 니체 (0) | 2025.03.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