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력
2. 대역폭
3. 복잡도
전력, 대역폭, 복잡도의 관계에 따라 통신시스템의 성능 척도를 변화된다.
만약 통신시스템의 성능이 증가 하였다면 3가지 요인 중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자원이 증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1. 전력
전력 은 송신전력(transmisson power), 계산하는 데 필요한 전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력이 커질때 문제점 중 하나는 무선통신 환경에서 전력을 자주 사용함으로 써 더욱 많은 신호를 보냈을때
다중 사용자 간섭(multi-user-interference) 확률이 증가하는 하는 것이다. 이는 수신부에서 ACK신호가 없기 때문에 다시 보내야 하는 문제까지 초래가 된다. 또한 전력은 많이 사용한 송신부 뿐만 아니라 다른 송신부에도 간섭이 생기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2. 대역폭
정보를 빨리 보내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대역폭은 서로 다른 스위치간의 간섭을 회피하기위해 각기 다른 스위치, 시스템 마다 분리 되어 있다. (ex 900MHz~930MHz사이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 할 경우 대역폭은 30MHz)
3. 복잡도
복잡도는 대부분 한정 되어있는 대역폭은 상수로 두고, 시스템 복잡도를 키우고 송신전력을 줄이는 방식으로 연구 되어 있다. 복잡도는 주로 정보를 정확히 보내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복잡도와 전력은 trade off 관계이다.
'M.S > 디지털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PCM, DM (0) | 2021.01.24 |
---|---|
디지털 통신의 블록도 (0) | 2021.01.24 |
주파수 대역 (0) | 2021.01.21 |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0) | 2021.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