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 이전 통신 블록도에서 소스 부호화 블록에서 ADC의 방법중 하나이다.

 - 기존 PCM 방식보다 SNR이 향상 되어있다.

 - 이전 신호와 현재 신호의 차이 값을 다룬다.

차이값 신호 (DPCM) 

- 송신단에서는 데이터 기저 신호 m[0]을 기점으로 차이 값을 연달아 보낸다.

m[0]~m[3]를 보낸 송신부

- 수신단에서는 처음 데이터 m[0]를 기저  신호로 취급하고 이후 데이터를 더하여 데이터를 해석한다.

m[0], r[1]~r[3]을 받은 수신부

- 수신단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는 공식

m[0]를 기점으로 수신한 r[k]데이터를 모두 더한 공식

- 차이값(데이터의 증분)이 크면 양자화 범위를 벗어나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오류 전파(error propagation)현상이 나올 수도 있다.

  - 오류 전파란 데이터의 오류가 난 시점 이후 데이터가 모두 에러가 나는 현상

  - 오류 전파를 제거 하기 위해 새로운 기준점 m[0]을 수신단에 보내어 DPCM 수신을 리셋 시킨다.

 

DM(delta modulation)

 - 이전 통신 블록도에서 소스 부호화 블록에서 ADC의 방법중 하나이다.

 - DPCM과 달리 차이값을 다루지 않고 차이값을 방향성만을 보낸다.

    (ex 차이값이 +2 일때 +델타 신호, 차이값이 -2일때 -델타 신호)

 - 수신단에서는 +델타 신호, -델타 신호 많을 받은 후 이를 로우패스 필터링을 통해 송신신호와 가까운 신호로

   복원시킨다.

-  DPCM방법의 단점과 같이 신호가 급격히 변하는 경우 델타신호의 한계로 변화 속도를 못따라 가는 단점이 있다.

'M.S > 디지털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통신의 블록도  (0) 2021.01.24
통신 시스템의 자원  (0) 2021.01.24
주파수 대역  (0) 2021.01.21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0) 2021.01.21

+ Recent posts